궁금한 뇌 이야기

신기한 뇌에 대해..

  • 2024. 4. 5.

    by. 가장눈부신지금

    목차

      반응형

       

      외향형은 외부 자극에 민감하고 많은 도파민이 필요하며, 새로운 환경에서 더 높은 도파민을 필요로 하는 반면 내향형은 내부 자극에 민감하고 평온한 즐거움을 선호하고, 외향형은 추상적으로 말하고 화려한 옷을 입는 경향이 있으며, 내향형은 구체적이고 정확하게 말하고 실용적인 옷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처럼 외향형과 내향형은 뇌 활동 및 행동 방식에서 차이가 있지만, 뇌의 생물학적 회로는 반복되는 생각과 행동을 통해 변화될 수 있습니다.

       

      도파민 민감도에 따른 내향인과 외향인의 다른 뇌 반응

       

      두 유형은 도파민에 대한 민감도 자주 사용하는 뇌의 영역 뇌가 행복을 느끼는 방식 전두엽이 다릅니다. 도파민은 더 많은 돈을 벌고 더 높은 사회적 지위를 추구하게 하고 상대를 유혹하고 싶은 욕구를 일으키는 한마디로 우리를 동기 부여해 해주는 신경전달 물질이죠. 외향형들은 도파민에 민감한 걸까요? 아니면 둔감한 걸까요? 외향형의 세계에서 살아남기를 쓴 심리학 박사 올슨 레니에 따르면 외향인들의 뇌는 도파민에 둔감 합니다. 다른 말로 하면 외향형들의 뇌가 충분히 자극되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도파민이 필요하다는 얘기 입니다. 평소 만나오던 친구들과의 만남도 도파민을 일으키지만 외향인의 뇌를 자극하기엔 충분하지 않아요. 그래서 새로운 친구들을 만나고 더 낯설고 새로운 상황에 부닥쳤을 때 외향인들은 너무 재밌다 이제야 좀 살아 있는 것 같다 이런 기분을 느낄 수 있습니다.

       

      마치 사람마다 위장 크기가 달라서 누구는 라면을 3개를 끓여 먹어도 배고프고 누구는 반개만 먹어도 배부르듯이 외향인들은 많은 양의 도파민을 통해서만 비로소 뇌가 만족할 수 있는 셈입니다. 그렇다면 내향인들은 어떨까요? 내향인들은 조금만 도파민이 나오는 상황에 부닥쳐도 이제 됐어 이렇게 느낍니다. 단짝과 한두시간 수다를 떨고 매일 산책하는 공원을 걸어도 뇌가 충분히 자극되는 거죠. 반대로 어쩌다 외양형 친구들에게 휘말려서 너무 많은 도파민에 시달리는 날에는 내향인들의 뇌는 과한 자극에 너덜너덜해지는 거고요.

       

      내 외향인 뇌 비교 결과

       

      또 다른 실험에서는 내향인들과 외향인들을 뇌스캔 기계 안에 가만히 누워있게 했습니다. 그리고 그들의 뇌를 찍어본 결과 두 가지 흥미로운 점을 발견해요. 먼저 내향인들은 외향인보다 뇌로 가는 혈류량이 더 많았습니다. 혈류량이 많을수록 뇌를 사용해 이것저것 생각하고 있는 게 많다는 거였죠. 그렇다면 혈류의 경로는 어땠을까요.

       

      내향인들의 뇌 경로부터 살펴보시죠.첫 번째는 섬엽입니다. 이 영역은 공감, 자기반성을 담당 하고 자신의 실수를 인지하기도 합니다. 한마디로 내향인들은 행동하기 전에 혹시 내가 실수하고 있는 건 아닐까 나중에 반성할 일이 생기는 건 아닐까 걱정부터 하기 시작한다는 거죠. 두 번째는 브로카 영역인데요. 브로카 영역이 손상된 환자들의 경우 다 암과 같은 모습을 보입니다. 이분은 질문자의 질문을 다 이해하고 제대로 대답도 하시지만 표현이 제대로 나오지 않으시죠. 브로카 영역은 언어 표현을 담당하고 혼자만의 내적 대화를 할 때도 활성화됩니다. 한마디로 내향인들은 행동하기 전 혼잣말을 활발히 한다는 말이 됩니다. 세 번째는 전두엽입니다. 이 부위는 행동을 계획하고 선택 하고 결과를 평가하는 역할을 하죠. 네 번째는 기업을 담당하는 해마 입니다. 내향인들이 행동하기 전에 온갖 옛날 기억들까지 떠올려보는 이유가 될 수도 있겠네요. 이렇게 내향인들은 행동하기 전에 깊고 복잡한 생각을 하게 되는 셈 이죠.

       

      그렇다면 외향형의 경우는 어땠을까요? 생각에 관련된 뇌의 영역을 주로 거쳤던 내향형들과는 달리 외향형들은 측두엽 시상 등 외부 감각을 처리하는 데 관여하는 뇌의 영역이 더 활성화되었습니다. 한마디로 둘 다 똑같이 기계 안에 누워있었을 뿐이지만 외향인들은 연구실에서 일어나는 일 같은 외부에서 일어나는 일에 주의를 더 기울였다면 내향인들은 머릿속 생각과 감정에 주의를 더 기울인 겁니다. 내향적인 사람일수록 그물활성계라고 불리는 시스템의 민감도도 높습니다. 예를 들어 같은 소리여도 더 크게 들리고요 같은 화면에도 더 밝고 오색찬란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한마디로 이 시스템의 민감도가 높으면 같은 자극에도 더 크게 반응 하게 됩니다.

       

      성격심리학자 에이생크는 이 개념을 활용해서 내향성 정도를 측정하는 테스트를 고안해요. 에이생크는 사람들의 혀에 어떤 음식을 20초간 올려놓게 합니다. 바로 레몬을요. 그리고 면봉으로 입안에 생긴 침을 닦아냈습니다. 침을 모조리 흡수시킨 면봉을 저울에 올려 무게를 측정했어요. 결과는 어땠을까요? 내향적인 사람들은 외향적인 사람들보다 50% 더 많은 침을 공개했습니다. 이제 왜 외향형이 노래를 따라 부르면서 점프를 하는지 왜 내향형이 그냥 빨리 집에 가고 싶은지 조금 이해가 되는 것 같네요.

       

      도파민은 흔히 우리를 동기부여 해 주고 우리에게 뇌 보상으로 작용한다고 알려져 있죠. 하지만 모두에게 그런 건 아닌 것 같습니다. 2013년 과학자들은 사람들을 모아서 시시하고 지루한 동영상 하나를 보여줍니다. 동시에 도파민 방출을 자극하는 리탈린이라는 약물도 투여해요. 마치 종소리를 들려주면 침 흘리게끔 조건화한 파블로프의 개처럼 연구진은 사람들이 지루한 동영상을 보고도 재미를 느끼고 흥분하게 끔 뇌를 조작한 셈입니다. 3일이 지나고 연구진은 참가자들을 다시 모아서 그때 그 지루한 동영상을 다시 틀어줘요. 결과는 어땠을까요? 외향적인 사람들의 뇌는 예상했던 것처럼 영상을 보면서 흥분했지만 내향적인 사람들은 그렇지 않았습니다.

       

      인지심리학자 스컷베리 카와프마는 이렇게 설명합니다. 돈, 이성, 사회적 지위, 애정, 맛있는 음식, 외향형들은 이런 것들 앞에서 도파민 시스템이 더 활성화되고요. 그 결과 외부 보상을 얻기 위해 더 동기 부여됩니다. 하지만 내향형들은 외부로부터 오는 보상보다는 내적인 보상, 자신만의 이유로 더 동기 부여되는 편이죠. 사회적 동물인 인간에게 타인은 매우 중요한 존재죠. 앞서 말한 돈, 이성, 지위, 애정 등 우리가 좋아하는 외부 보상들 중 인간관계에 무관한 건 거의 없습니다. 그래서 일까요 한 연구에 따르면 내향형들은 꽃 사진을 보여주나 얼굴 사진을 보여주나 큰 반응의 차이가 없었지만 외향인들은 내향인들에 비해 사람의 얼굴에 훨씬 더 강한 반응을 보였습니다. 그렇다면 외향형과 내향형 중 누가 더 행복할까요? 수십년간의 연구들에서 발견된 일관된 결론은 외향인인 사람들이 내향인인 사람들보다 전반적으로 좀 더 행복하다는 사실입니다. 여러 원인이 있겠지만 외향인들이 사회적 상황에 더 많이 참여한다는 점이 크다고 합니다. 그러나 동시에 과학자들은 이런 의문을 제기합니다.

       

      내향형과 외향형의 행복 감정 비교

       

      외향인인 사람들이 실제로 더 행복한 게 아니라 내향인보다 자기감정에 더 솔직해서 그런 건 아닐까? 행복을 어떻게 정의하고 측정하는지에 따라 달라지는 건 아닐까? 교육심리학자 크리스틴 폰세카도 내향형과 외향형은 행복을 느끼는 방법이 다르다고 합니다. 그녀는 이렇게 말해요. 외향형들은 도파민이 주는 행복감에 의존하지만 내향형들은 아세틸콜린에 더 의지하는 편입니다. 도파민이 의욕과 흥미, 가슴 벅차오르는 쾌감을 준다면요. 아세틸콜린이 주는 행복감은 조금 다릅니다. 아세틸콜린은 평온한 즐거움을 선사하여 조용하고 편안한 환경에서 외부에 대한 주의를 거둬들이고 내면으로 향할수록 아세틸콜린은 내향인들의 기분을 좋게 만듭니다. 연구에 따르면 외향형과 내향형은 말하는 방식도 다르다고 해요. 참가자들한테 다양한 사진을 보여 주고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설명을 부탁했을 때 외향형들은 추상적으로 말하는 반면 내향형 들은 더 구체적이고 정확하게 이야기 한다고 합니다.

       

       

      전두엽도 다른 외향인과 내향인의 뇌 

       

      내향인들은 외향인들과 전두엽도 달라요. 전두엽은 고차원적인 사고와 이성적 의사결정을 담당하죠. 2012년 신경과학 지에 게재된 한 연구는 내향인들의 전두엽의 회백질 영역이 더 넓고 두껍다는 걸 밝혀냅니다. 한마디로 내향인들은 생각하는 데 더 많은 에너지를 쓰는 반면 외향인들은 현실에 충실한 경향이 있다는 거죠. 테드 강연에 나와서 1600만회 조회수를 기록한 수잔 케인은 내향인의 입장에서 학교와 직장을 비판합니다. 그녀는 이렇게 말합니다. 요즘 교실들의 책상이 서로 붙어있고 셀 수 없이 많은 조별 과제를 합니다. 심지어 각자의 생각이 기반해야 하는 수학이나 장문 같은 과목도 조별로 하고요. 스스로 뭔가를 해보고 싶거나 혼자 깊게 고민하고 싶은 학생은 선생님의 특별 지도가 필요한 아이로 취급 되기도 합니다. 직장은 어떤가요 대다수의 직장인들이 열린 공간인 사무실에서 일하죠. 다른 동료들의 시선을 받아야 하고요. 학생들은 회의실에 소집되고요. 수잔은 말합니다. 고독은 누군가에게는 호흡하는 공기와도 같고 특히 고독은 창의성의 중요한 요소가 되기도 합니다.

      외향형, 내향형, 도파민
      외향형(E)과 내향형(I)의 뇌 구조 차이점은?

       

       

      확실한 건 반복되는 생각과 행동을 통해서 뇌의 생물학적 회로를 바꿀 수 있다는 점입니다. 너무 외향적이어서 괴로움을 겪고 있다면 깊은 사고력과 신중함을 배우고 너무 내향적이어서 괴롭다면 너무 많이 생각하기 전에 행동 해보고 내 마음 보따리를 가끔은 남들에게도 풀어보는 것도 참 좋을 것 같습니다.

      반응형